2007. 2. 9. 14:21ㆍLove Story/사랑 그 흔한 말
무언가 이유는 있지만말이 마음을 담지 못 할때,우리는 '그냥'이라고 한다.한국어로는 보내는 쪽은 "안녕히 가세요"가는 쪽은 "안녕히 계세요" 하고 인사한다.프랑스의 오르봐, 영어의 굿바이, 일본어의 사요나라와는 조금 다르다.남아있는 사람과 떠나는 사람이 각각 다른 작별인사를 하는 건이 넓은 세상에서 한국어뿐이 아닐까.상대편을 배려하는 그 말의 다정함에 나는 감동했었다.사랑 후에 오는 것들 / 츠지 히토나리좋아. 우리의 문제가 비롯된 곳에서 다시 시작하자.그곳에서 행복해질 수 있다면 우리는 어느 곳에서도 행복해 질 수 있어. 그리고 그곳에서 행복해질 수 없다면 우리는 어느 곳에 가도 행복해 질 수 없어.박태현 / 소통 中어떤 사람은 정말 슬픈 얘기를 하면서도표정은 마스크를 쓴 것처럼 변화가 없다. 목소리의 톤도 변화가 없고 단어의 사용도 단조롭고 반복적이다. 누가 어떤 감정적 문제를 지적할 때 그것에 대해 동의하기보다 지적인 내용을 길고 상세하게 늘어놓으면서 방어한다. 마치 커다른 갑옷을 입고 있는 사람처럼 보인다.그런 이들은 타인의 감정에 대해서도 둔감하다. 그래서 내 눈앞에서 누가 갑자기 울음을 터뜨리면 왜 그런지 궁금해하거나 같이 아파하기 위해 노력하기보다 당황하는 것이 먼저다.'왜 내 앞에서 우는거지?' 왜 내가 이 상황에 같이 있어야 하는지 황당해하면서 자리를 모면하고 싶어한다. 이들은 당당해 보이고, 자기 주장이 강한 사람들 같다. 그러나 내면을 들여다보면 사실은 연약하고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큰 사람들이다. 고통을 느끼는 것을 두려워하고 작은 아픔조차도 무서워 모든 감정 채널을 닫아버린다.관계의 재구성 / 하지현무사태평으로 보이는 사람들도 마음속 깊은 곳을 두드려보면 어딘가 슬픈 소리가 난다. 나쓰메 소세키 /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中